목록분류 전체보기 (31)
박철순
Math.pow(base, exponent) 제곱근 해주는 값. base = 제곱을 해줄 설정?값. exponent = 제곱을 얼마나 해줄지에 대한 값. 반환값은 설정값(base)에 얼마나 제곱해줄 값(exponent)의 제곱된 값. * base에 음수값, exponent에 정수가 아닌값 설정 시 NaN을 반환함. // 간단한 예 Math.pow(7, 2); // 49 Math.pow(7, 3); // 343 Math.pow(2, 10); // 1024 Math.pow(-7, 0.5); // NaN (음수는 실제 제곱근을 가지지 않습니다.) // "짝수"와 "홀수" 근이 서로 가깝게 놓여 있고 // 부동소수점 정밀도의 한계로 인해, // 밑이 음수이며 지수가 분수라면 언제나 NaN을 반환합니다. Mat..
태그는 요소의 다중 이미지 리소스(multiple image resources)를 위한 컨테이너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요소는 뷰포트(viewport)의 너비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지는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대신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나 기기에서 해당 뷰포트에 알맞게 채워질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이미지 중에서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요소는 웹 개발자가 이미지의 리소스를 보다 유연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반응형 디자인(responsive design)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요소는 0개 이상의 요소와 하나의 요소로 구성되며, 브라우저는 요소 중에서 해당 뷰포트와 가장 잘 어울리는 요소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합니다. 브라우저는 요소들의 속성값을 각각 확인해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 HTTP는 텍스트로 서로 통신을 한다. 이 때,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가로채면은 내용이 노출되는 보안 이슈가 존재함. 이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HTTPS이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란?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암호화는 SSL 프로토콜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 기존의 HTTP 통신에 텍스트를 암호화 하여, 자원을 주고 받는 방식이다. Heroku, Github, Netlify 등 무료 SSL 자동 발급이 가능합니다. 절차가 없거나, 정말 간단한 절차로 HT..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언어로 기존의 클래스(객체)형의 언어들과 차별점을 두고 있다. 클래스(객체)형은 서양철학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기에, 서양권에서 만들어진 언어다 보니 자연스레 이분법적을 가지고 있다. 레퍼런스 타입이라 불리는 Chair 클래스는 이데아에 존재하는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메모리상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const 만들객체명 = new 클래스명()을 통해 메모리에 존재합니다. 즉, Class Chair { } 의 형태는 이데아에 존재하는 본질적인, 추상적인 의자. 현실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new 키워드를 이용해서 new Chair() 를 하는 순간 추상적으로만 존재하던 의자가 메모리라는 현실세계에 구체적으로 존재(인스턴스화)하게 됩니다. 이분법적이란? 영혼/육체, 추상..
한 번 비동기는 영원한 비동기이다. (비동기를 동기로 바꾸지 말아야 함) 비동기는 동시의 문제가 아니라, 순서의 문제다. 이벤트루프는 호출스택이 비어있으면은 테스크 큐에 있는값을 호출스택으로 실행해줌. 백그라운드,(매크로,마이크로 테스크 큐)로 구성되어있음. 사실 더 많치만 사용하는데는 크게 지장없음. 백그라운드는 다른 언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어, 동시에 여러개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다. 여기에 들어가는 코드들은 비동기코드들 이 들어감, Js는 ( setTimeout,setInterval,Promise,네트워크요청(ajax),EventListener ) Node.js는 ( Process.nextTick() ) setImmediate() 즉시 실행 함수도 있음. 마이크로 테스크 큐에는 Promise,p..
이벤트는 전파를 타는데 자식이 이벤트를 실행시키면은, 함수가 끝나고 감싼 부모중에 같은 이벤트를 가진 부모의 이벤트는 실행이 됨. 이것을 막기 위해 e.preventDefault(), e.stopPropagation() 를 이벤트가 실행되는 자식 함수에 넣어줘야 함. e.preventDefault는 고유 동작을 중단시키고, e.stopPropagation 는 상위 엘리먼트들로의 이벤트 전파를 중단 이벤트를 한번만 실행 할 때는 button.addEventListener('click', 콜백함수,{once:true});로 해주면됨. 이벤트리스너함수에는 여러가지 옵션이 존재함. 그 중 once로 제어 가능 단, 이벤트가 실행한 후 해당 이벤트는 스스로 제거가 됨. 그래서 딱 한번만 실행되는 함수에만 사용해 ..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자원이 실제로 존재하는 위치를 가리키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자원의 위치뿐만 아니라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로서 URL을 의미를 포함한다. 즉 URI는 식별하고, URL은 위치를 가르킨다. URL 은 www.youtube.com/index 처럼 경로를 담고있는 주소? URI 는 www.youtuebe.com/user?id=107 && www.youtube.com/user/107 등 URL에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를 의미함.